Warning: Constant TRUE already defined in /var/www/wp-content/plugins/amazon-associates-link-builder/plugin_config.php on line 114
Paju Declaration - EcoCivDev - Institute for Ecological Civilization Skip to content

Paju Declaration

At the conclusion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Ecozoic Culture (October 14, 2018), EcoCiv joined 5 other organizations from China, Korea, and the USA in signing a shared statement on the world’s most urgent problems and a vision toward ecological civilization. See the English and Korean translations below.

Paju Declaration

Preamble
Today, the global-scale ecological crisis, combined with the polarization of economic wealth, politics of antagonism and hostility an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weapons of human extinction, is shaking the very foundation of human existence. Amidst all this, on April 27, 2018, the Panmunjeom Declaration of the inter-Korean summit was announced at Panmunjeom, Paju City, Korea. This marked the beginning of a remarkable shift that put an end to the long-standing division and confron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 product of the 20th century Cold War, and in its place opened a new era of reconciliation and peace. From October 12th to 14th, 2018, we held the Ecological Civiliz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in Paju. The three-day conference has led us to the common conclusion that to begin an era of true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in East Asia and in the global community, bold dreams and practices for transitioning to a new ecological civilization are essential. Let us leave behind the outdated paradigm of industrial civilization tainted by climate change, nuclear weapons and frequent wars. We must become new subjects in a process of creative experience where we think globally and act locally in the communitie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 We propose a joint effort and united front in the search for, and the practices of, an ecological civilization, and hereby adopt this declaration as the co-hosting organizations of the 2018 Ecological Civiliz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1. The Worldview of Ecological Civilization
We seek an ecological civilization, which recognizes life and the human race as part of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wider universe and coexists within the frame of the infinite wonders to be experienced. Industrial civilization has brought us abundance and stability, but at the same time it has objectified non-human subjects and exposed our loss of respect for our home, the Earth. As the existing civilization faces crises of a severity never before seen, it is now time for us to build a new system in which we are fully aware that human beings are interconnected in our relationship to the Earth. This demands a paradigm shift to a mutually enhancing human-Earth relationship.

2. Responsibility as Global Citizens
We must possess awareness as global citizens and bear the corresponding collective responsibility. This stems from our self-respect as beings with the ability to self-reflect and accept accountability, and also the will to create a better reality. We seek integral solutions that assume collective responsibility to overcome critical issues such as ecological crises, social polarization and antagonistic politics.
3. Establishing an Ecological Economy and System of Collaboration
We seek a fundamental reorganization of the economy based on a truthful eco-economic principle – human society and economy can only exist when the Earth exists. An ecosystem of collaboration and coexistence between various regions of the Earth – human and non-human, urban and rural – is the core value of a future-oriented economy. To this end, the misguided compass that is the economic- and growth-centric GDP must be transformed into an ecological civilization indicator that embodies the harmonization and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 and human beings. Moreover, countries on diverse economic paths and at various levels of development must urgently adopt new common values and build collaborative systems to overcome global-scale challenges of poverty, polarization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4. Resetting the Ecological Path of Science and Technology
We aim for a mature, ec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contributes to the cultivation of human potential and coexistence on Earth and in the universe. Technological revolution will radically change humanity and the future, but we refuse to fall victim to the temptations of techno-optimism and, at same time, we also reject retro-romantic trends that idealize the past. Moreover, we pursue the transition to an ecological science where the coexistence of all life is the highest priority, and we seek to direct the will of the people toward this vision.

5. The Value of Earth Jurisprudence and the Need for Global Governance
We propose the need for Earth jurisprudence values that regard humans as part of the larger Earth community, and also acknowledge that the well-being of humans depends on that of the Earth. The rule of law in modern civilization has failed to keep in check the human tendency for arrogance and self-destruction of our surroundings. Beyond the human-centric value of law, we suggest institutionalizing a new and binding global Earth governance that is applicable to the whole Earth community.

6. Revolutionary Transform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the belief that a revolutionary transformation is necessary for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to become places of learning that spread the philosophy of integration, transformation and contemplation, we will strive for collaboration to achieve this end. Before changes in systems and organizations can take place, the transition to an ecological civilization first requires a fundamental shift in the habits of heart. Learning must be a process of becoming a better human being through the attainment of a holistic character, including appreciation for our connections to the Earth and the universe as well as the recognition of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the humanities.

7. Ecological Transi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 Global-scale Campaign
We invite all global citizens and ecological experts to join a worldwide campaign to create new values, ways of life and governance initiatives regarding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ath to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a ‘social creation’ of global citizens in the context of new imaginations, new narratives, new reflections on modern civilization and the transition to an ecological civilization. We seek a path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self-reflection and openness. Moreover, we seek ecologically centered governance in Asia which will allow for the voices of global citizens and the Earth community to be heard.

8. The Constant Maturation Process of Self-reflection
We seek a permanent process in which our deep inner selves, diverse ways of life and the transformations of systems influence one another and mature together. The great leap to a new ecological civilization requires arduous self-reflection and changes in ways of life since it is a qualitative break from the existing addiction to growth and anthropocentrism rather than a process of smooth evolution. A structural change that does not include the inner self-reflections of individuals and changes in everyday life is futile and devoid of meaning.

9. Urging Future Generations to Participate
We are convinced that only with open-minded solidarity and a joint effort that crosses the boundaries of all subjects and future generations, empathic and heartsick over the deterioration of our planet and its remarkable variety of beings, will we be able to find new paths. The transition to an ecological civilization requires new subjects to implement the transformations. In particular, the transition to a new society can only be possible when diverse future subjects such as younger generations and women actively participate.

10. Creative Organizations and an Ecological NetworkAs members of the global citizen community, we must keep striving for collaborative efforts and practices that transcend national boundaries. An ecological organization is one that aims to be a part of an ecological network in which diverse groups of subjects express their various abilities according to their unique potential, but are intricately linked in a dynamic and harmonious manner. It is our earnest hope that as our passions grow and converge, countless creative communities will emerge. Today we face an undeniable and imminent ecological crisis. Nevertheless, we are confident that our self-reflective will and desire for a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will open up new horizons and create a bold new future.

October 14, 2018

Initial Signatories

  • People for Earth
  • Institute for Ecological Civilization
  • SNU-HU Post-Human Research Project
  • Global Academy for Future Civilizations, Kyung Hee University
  • Institute for Postmodern Development of China
  • Center for Process Studi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생태전환 선언(파주선언)

2018. 10. 14.
생태문명 국제컨퍼런스 2018
대한민국 파주시

전문
오늘날 지구적 차원의 생태위기는 경제적 부의 양극화, 타자에 대한 배제와 적대의 정치, 인류 절멸의 전쟁기술 발전과 결합되어 인류의 존재 기반 자체를 크게 뒤흔들고 있다. 이런 가운데 2018년 4월 27일 대한민국 파주시 소재 판문점에서 남북정상의 ‘판문점선언’이 발표됐고, 20세기 냉전의 산물인 오랜 한반도 분단과 대결을 종식시키고 화해와 평화번영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역사적인 지각변동이 시작됐다. 우리는 2018년 10월 12일부터 14일까지 판문점이 소재한 파주에서 생태문명 국제 컨퍼런스를 주최했다. 오늘날 한반도와 동아시아, 나아가 국제사회의 진정한 평화번영의 시대를 열기위해서는 기후변화와 핵무기, 잦은 전쟁으로 얼룩진 20세기 산업문명의 낡은 패러다임을 뛰어넘어야 한다. 우리는 3일간의 컨퍼런스를 통해서 지구와 인간의 공존을 포괄하는 새로운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을 위한 담대한 꿈과 실천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공동인식에 도달했다. 이를 위해 지구적으로 생각하고 한반도와 동아시아 전지역적으로 실천하는 새로운 주체형성과 창의적 경험의 과정을 만들어야 한다. 우리는 생태문명으로의 전환 모색과 실천에 함께 하기를 제안하며, 2018 생태문명 국제컨퍼런스 공동주최기관으로서 이 선언을 채택한다.
1. 생태문명의 세계관
우리는 생명과 인간을 우주 전체의 변화 과정의 일부로서 체험하는 경이로움 속에서 인식하고 함께 공존하는 생태문명을 추구한다. 산업문명은 인류에게 풍요와 안정을 가져다 주었지만 동시에 다른 비인간 주체들을 대상화하고 우리의 터전인 지구에 대한 존중심을 상실하는 한계를 노정했다. 기존 문명의 심대한 위기를 맞이하여 이제 다시 인간은 지구와의 관계에서 상호 연결된 존재임을 뚜렷이 각성하는 의식을 담은 제도와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는 인간과 지구의 상호 호혜적 고양 관계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2. 지구시민의 책임
우리는 지구시민으로서 자각과 그에 상응하는 집단적 책임을 져야 한다. 이것은 우리가 자기성찰능력과 책임능력을 갖고 보다 나은 현실을 만들어가는 존재라는 자긍심에서 비롯된다. 우리는 생태위기, 양극화, 타자 배제의 정치 등 주요 문제들에 대해 집단적 책임에 입각한 ‘통합적’ 해결을 추구한다.
3. 생태경제와 협력체계의 구축
우리는 지구가 있고 나서야 인간이 있고 경제가 있을 수 있다는 진실에 정직한 생태경제의 관점하에 경제의 근본적 재조직화를 촉구한다. 인간과 비인간, 도시와 농촌, 다양한 지역이 연결되어 협력하고 공존하는 생태계는 미래 지향적 경제의 핵심 가치이다. 이를 위해 성장주의와 경제중심주의에 근거한 GDP 지표라는 잘못된 나침반은 지구행성과 인간존재의 조화와 지속가능한 관계를 구현하는 생태문명 지표로 전환돼야 한다. 또한 경제적으로 다양한 경로와 발전 수준에 있는 국가들은 빈곤, 양극화, 생태파괴의 심각한 지구적 난제들을 함께 풀어 나가기 위한 공통의 새로운 가치 및 협력 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
4. 과학기술의 생태적합적 방향 재설정
우리는 과학기술이 인간적 잠재력의 함양, 지구와 우주 공동체 속 공존에 기여하는 방향인 생태과학기술로 성숙해 나가는 것을 지향한다. 이러한 기술혁명은 인간의 존재 형태와 미래를 급진적으로 바꿀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기술 낙관주의에 대한 유혹이나 무조건 과거를 미화하는 복고적 경향을 거부하고 모든 생명체의 공존을 최우선시하는 생태과학으로의 전환에 대해 깊이 숙고하고 이 방향을 위해 다수의 의지를 모은다.
5. 지구법(Earth Jurisprudence)의 가치와 지구적 거버넌스의 필요
우리는 더 넓은 지구공동체의 한 부분으로서 인간이 존재하며 인간의 안녕은 지구 전체의 안녕에 의존한다고 보는 지구법학의 새로운 가치를 제기한다. 그간 근대문명의 법의 지배라는 가치는 인류의 오만과 자기 터전 파괴의 경향을 제어하지 못했다. 우리는 인간 중심적 거버넌스를 넘어 모든 지구공동체를 위한 새롭고 구속력 있는 지구 중심 거버넌스를 구축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6. 교육기관의 혁명적 전환
우리는 통합, 전환, 자기성찰의 철학을 가진 배움 기관으로 모든 교육기관의 혁명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위해 협력해갈 것이다.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은 제도와 구조의 변화 이전에 마음의 습속 차원의 근본적 전환을 요구한다. 배움의 장은 우주와 지구적 관계에 대한 연결감과 경이로움, 그리고 과학과 인문학의 통합적 인식 등의 전인적 인격형성을 통한 더 나은 인간으로 성숙해가는 과정이어야 한다.
7. 한반도의 생태적 전환과 전지구적 캠페인
우리는 모든 지구시민 및 생태 전문가들과 함께 한반도 미래 상상의 가치와 삶의 방식, 그리고 거버넌스 구상을 만들어가는 지구적 캠페인을 제안한다.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은 근대 문명에 대한 성찰과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이라는 새로운 상상과 서사의 구조 속에서 지구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사회적 창조’이어야 한다. 우리는 이 한반도 평화체제로의 과정이 자기 성찰과 열린 자세. 나아가 지구시민과 지구 생명 공동체의 참여를 열어둔 생태중심적 아시아 거버넌스를 추구한다.

8. 자기성찰의 부단한 성숙 과정
우리는 우리 안의 깊은 내면과 외부의 다양한 삶의 방식, 그리고 구조 전환이 서로 영향을 주면서 함께 성숙해가는 영구적 과정을 지향한다. 새로운 생태문명으로의 커다란 도약은 기존 성장중독과 인간중심주의와의 질적 단절이라는 점에서 편안한 진화의 과정이기 보다는 때로는 고통스러운 자기성찰과 삶의 방식의 전환을 요구한다. 각 개인의 내면의 마음 성찰과 일상적 삶의 방식의 부단한 변화와 통합되지 않는 구조적 변화의 구상은 공허하다.
9. 미래세대들의 참여촉구
우리는 지구행성과 다양한 존재의 악화되는 경향에 아파하고 공감하는 모든 비통한 주체 및 미래세대들의 경계와 영역을 넘나드는 열린 연대만이 다른 길을 열어갈 수 있다고 확신한다. 생태문명으로 이행은 전환적 실천을 구현할 새로운 주체 구성을 요구한다. 청년과 여성 등 다양한 미래적 주체들이 참여할 때 비로소 새로운 사회로의 이행은 가능하다.
10. 창의적 조직과 생태적 네트워크의 창출
우리는 지구시민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국가 공동체를 넘는 협력과 실천의 공유를 지속해 나가야 한다. 생태적 조직은 다양한 주체들이 각자의 잠재력에 따라 고유한 역량을 발휘하면서도 서로 연결되고 함께 역동적 조화를 이루는 생태적 네트워크를 지향한다. 우리의 치열한 열정을 모아가는 과정 속에서 창의적 공동체가 ‘창발’되어 나오기를 우리는 가슴 깊이 희망한다. 오늘 우리는 분명하고도 절박한 생태위기에 직면해 있다. 하지만 문명전환을 위한 우리의 성찰적 의지와 열정이 새로운 차원을 열어젖히고 담대한 미래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우리는 확신한다.

2018년 10월 14일

지구와사람
Institute for Ecological Civilization
서울대-한신대 포스트휴먼연구단
경희대 미래문명원
Institute for Postmodern Development of China
Center for Process Studies

Please follow and like us:
Scroll To Top